리플(XRP)홀더 분들이시라면 송버드 코인을 대부분을 알고 계실거 같은데요,
2020년 리플 홀더들에게 에어드랍으로 스파크 토큰을 에어드랍해준다고 했었지만 스파크 토큰은 아직 지급되지 않았고 대신 송버드(SGB) 토큰을 먼저 지급해 주었습니다.
오늘은 리플 홀더들에게 지급된 송버드(SGB) 코인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송버드(SGB) 코인 소개
송버드(SGB)코인은 리플코인(XRP)에 기반을 두고 있는 코인으로 송버드 네트워크는 플레어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있는지 테스트하기위해 만들어진 네트워크입니다.
그리고 그 네트워크 안에서 거버넌스 토큰으로 사용되고 있는 코인이 바로 에어드랍으로 지급된 SGB입니다.
플레어 네트워크(Flare Network)란?
플레어 네트워크는 모든 기본 체인의 상태를 안전하게 해석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다른 네트워크는 이를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에 의존하도록 강요하거나, 다른 체인이 표준을 따르도록 강제하여 결과적으로 독립 체인의 프로토콜을 변경하고 통신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합니다.
플레어 네트워크의 작동방식은 Flare 검증자가 되어 기본 블록체인의 최신 상태를 Flare로 일관되게 증명함으로써 가중치를 더 많이 얻습니다.
또한 기본 블록체인의 Flare에 대한 모든 스마트 계약에 대한 지불을 증명하고 새로운 네이티브 블록체인의 Flare에 통합합니다.
플레어 네트워크는 아직 출시되지는 않았는데요, 만약 출시 된다면 디파이, NFT, 게임 분야도 같이 운영된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플레어 네트워크 안에는 다양한 시장들이 들어오게 되는데요, 그전에 실험하는 네트워크가 바로 송버드 네트워크 입니다.
시세
송버드코인의 현재 (2022. 04. 08) 가격은 약 86원 인데요, 작년 12월 대략 660원 까지 큰 상승을 보인후 급격하게 떨어져 지금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송버드코인은 Bitrue, MEXC, Kraken, Gate.io 등 해외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고 국내에서는 4대 거래소 중 하나인 코빗에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습니다.
송버드(SGB) 전망
송버드코인은 아직 플레어 네트워크의 테스트용 토큰이기에 스파크 토큰이나 리플과는 다른 용도로 쓰여질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그렇다고 가치가 없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폴카닷의 쿠사마 네트워크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는데요, 플레어 네트워크에서 송버드 네트워크를 실험으로 활용하는 것처럼 폴카닷 네트워크에서는 쿠사마 네트워크를 테스트 네트워크로 활용한바 있습니다.
그리고 쿠사마 네트워크는 엄청나게 상승했었습니다.
현재 플레어 네트워크는 런칭이 지연되고 있는데요, 원래는 2021년에 런칭할 예정이었지만 아직까진 이렇다할 소식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리플기반의 토큰인 만큼 리플과 SEC와의 소송이 리플의 승소나 좋은 합의가 이뤄지면 플레어 네트워크의 런칭이 다시 가속화 될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쿠사마의 사례처럼 송버드코인도 큰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해당 정보는 코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
2 thoughts on “송버드(SGB)코인 소개와 시세 및 전망 요약 정리”
Comments are closed.